Kubernetes/CKA&CKAD
[CKA] 개념정리 - nodePort, port, targetPort 정리
기록하는 백앤드개발자
2024. 1. 29. 08:58
반응형
ㅇ CKA 공부하면서 Service의 port들이 자꾸 헷갈렸다. 누구의 port인가? 기억을 위해 표를 만들었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ervice
spec:
type: NodePort
selector:
app.kubernetes.io/name: MyApp
ports:
# 기본적으로 그리고 편의상 `targetPort` 는 `port` 필드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 port: 80
targetPort: 80
# 선택적 필드
# 기본적으로 그리고 편의상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은 포트 범위에서 할당한다(기본값: 30000-32767)
nodePort: 30007
ㅇ NodePort 유형에 관한 예시이다.
ㅇ 볼 때마다 헷갈린다. 누구의 port인지 헷갈렸다.
ㅇ 기억을 위한 나만의 표를 만들어 보았다.
type | 누구의 port | 의미 | 메모리 키워드 |
nodePort | node의 port | 외부에서 node로 올 때 | 이름그대로 nodePort |
port | service의 port | node가 service로 보낼 때 | 나 자신은 생략 port |
targetPort | pod의 port | service가 pod(target)에게 던질 때 | service가 던지는 targetPort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