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Spring
[Spring] Hadoop- Hive 컨넥션 유지 방법, @Scheduled
기록하는 백앤드개발자
2024. 10. 28. 10:10
반응형
ㅁ 들어가며
ㅇ Kotlin과 Spring을 사용하여 Hive 연결을 주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었다.
ㅇ 검색해면서 @Scheduled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방법을 찾아 그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ㅁ @EnableScheduling 설정
@SpringBootApplication
@EnableScheduling
class YourApplication
fun main(args: Array<String>) {
runApplication<YourApplication>(*args)
}
ㅇ 기본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클래스나 설정 클래스에 @EnableScheduling 어노테이션을 추가한다.
ㅁ 연결 유지 서비스 생성
@Service
class HiveConnectionService(
private val jdbcTemplate: JdbcTemplate
) {
private val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HiveConnectionService::class.java)
@Scheduled(fixedRate = 1800000) // 30분마다 실행 (밀리초 단위)
fun keepAliveConnection() {
try {
val result = jdbcTemplate.queryForObject("SELECT 1", Int::class.java)
logger.info("Hive connection keep-alive query executed. Result: $result")
} catch (e: Exception) {
logger.error("Error executing Hive keep-alive query", e)
// 여기에 연결 재설정 로직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resetConnection()
}
}
}
ㅇ Hive 연결을 관리하는 서비스 클래스를 생성한다.
ㅇ @Service 어노테이션은 이 클래스를 Spring의 서비스 빈으로 등록한다.
ㅇ @Scheduled(fixedRate = 1800000)는 메서드를 30분(1,800,000 밀리초)마다 실행하도록 설정하였다.
ㅇ keepAliveConnection() 메서드는 간단한 SELECT 쿼리를 실행하여 연결을 유지한다.
ㅁ 연결 재설정 로직
@Autowired
private lateinit var dataSource: DataSource
private fun resetConnection() {
try {
(dataSource as? HikariDataSource)?.let { ds ->
ds.softEvictConnections()
logger.info("Hive connection pool reset")
}
} catch (e: Exception) {
logger.error("Error resetting Hive connection pool", e)
}
}
ㅇ 필요에 따라 연결 재설정 로직을 추가할 수 있다.
ㅇ 이 resetConnection() 메서드를 keepAliveConnection() 메서드의 catch 블록에서 호출하여 연결 오류 시 연결 풀을 리셋할 수 있다.
ㅁ 마무리
이 방법을 통해 Hive 연결을 주기적으로 유지하고, 필요시 연결을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실제 환경에 맞게 실행 주기와 오류 처리 로직을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ㅁ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