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mysql 튜닝
- kotlin
- APM
- kotlin querydsl
- go
- Linux
- 오블완
- Pinpoint
- aws
- Elasticsearch
- minikube
- Java
- kotlin coroutine
- Kubernetes
-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
- CKA 기출문제
- AI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티스토리챌린지
- golang
- AWS EKS
- PETERICA
- CloudWatch
- CKA
- 공부
- Spring
- docker
- Today
- Total
피터의 개발이야기
맥에서 파일 공유 활성방법 본문

ㅁ 들어가며
맥과 윈도우를 동시에 사용하다보면 파일공유가 문제가 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에 맥에서 폴더를 공유하여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우선, 파일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인 SMB를 설명드릴께요.
ㅁ SMB란?
SMB는 Server Message Block의 약자, 파일이나 프린터를 네트워크에서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MB는 원도우 개발사인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되었습니다. 현재 많은 기업에서 파일 공유를 위해 SMB를 사용하고 있고, 맥OS에서도 파일 공유를 위해 SMB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오늘 설명드릴 맥의 파일공유 활성 방법도 SMB 프로토콜을 이용합니다.

맥과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한글깨짐 현상이 발생하는데요. SMB를 이용하면 한글깨짐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Mac 파일명 깨짐 해결 방법, 자소분리, 한글 자음모음 분리문제을 참조해 주세요.
ㅁ 맥에서 파일 공유 활성방법

ㅇ 맥에서 파일공유를 활성화합니다.
ㅇ 파일 공유 오른쪽에 i를 클릭합니다.
ㅇ 파일 호스트를 이용하여 IP 대신 접속할 수도 있습니다.

ㅇ smb://192.168.33.28 혹은 smb://PeterSeo-MacBook-i9로 접속할 수 있도록 읽기 쓰기 권한을 주었습니다.
ㅇ 사용자를 선택하고 옵션을 클릭합니다.

ㅇ 맥에서 SMB를 사용할 수 있도로 체크하여 Windows과 파일과 폴더를 공유할 수 있게 합니다.
ㅁ 윈도우에서 맥으로 파일공유 접근

ㅇ smb://192.168.33.28으로 접속 테스트를 수행

ㅇ smb://PeterSeo-MacBook-i9으로 접속 테스트 수행

ㅇ 윈도우에서 맥의 공유폴더에 접속이 되는지 확인됨
ㅁ 맥의 공유 폴더에서 파일 접근 시 거부되는 현상(25.04.14)
맥에서 공유 폴더 설정을 하고 윈도우에서 파일을 보내었는데, 맥의 공유 폴더에서 파일을 열려고 하면 권한 문제가 발생하여 비공개로 문의를 주셨다. 댓글로 작성한 여기에 옮겨 놓았다.
공유 폴더 위치에서 권한 확인하기 위해서는
1. 맥에서 Finder 열기
2. 문제가 되는 공유 폴더 or 파일에서 우클릭
→ "정보 가져오기(Get Info)" 아래쪽의 "공유 및 접근 권한" 항목에서 확인
3. 사용자 계정에 "읽기 및 쓰기" 권한이 있는지 확인
→ 없다면 자물쇠 아이콘 클릭 → 관리자 암호 입력 후 수정 가능
4. 본인의 계정에 "읽기 및 쓰기"가 없다면, 추가하고 변경해주세요.

ㅇ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 및 폴더에 "읽기 및 쓰기" 권한을 잘 체크해야한다.
ㅁ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개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XL 메모리 vs 애플 실리콘 메모리 정책: 공통점과 차이점 (0) | 2025.03.31 |
---|---|
NVMe 스토리지와 AWS EBS 볼륨 타입: 성능과 지연률 최적화 전략 (0) | 2025.03.31 |
CXL 메모리: 차세대 컴퓨팅 환경을 위한 혁신 기술 (0) | 2025.03.31 |
훌륭한 개발 문화를 위해 RnR을 넘어선 협력의 힘, 품앗이 문화 (1) | 2024.12.06 |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보안 인증 제도란 (1)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