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APM
- aws
- kotlin spring
- 티스토리챌린지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kotlin
- 오블완
- Kubernetes
- CKA
- AWS EKS
- kotlin coroutine
- PETERICA
- 정보처리기사 실기
- CKA 기출문제
- Java
- Spring
- IntelliJ
- CloudWatch
- Linux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mysql 튜닝
- Pinpoint
- minikube
- kotlin querydsl
- MySQL
- Elasticsearch
- AI
- 공부
Archives
- Today
- Total
피터의 개발이야기
[CKA] 개념정리 - nodePort, port, targetPort 정리 본문
반응형
ㅇ CKA 공부하면서 Service의 port들이 자꾸 헷갈렸다. 누구의 port인가? 기억을 위해 표를 만들었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ervice
spec:
type: NodePort
selector:
app.kubernetes.io/name: MyApp
ports:
# 기본적으로 그리고 편의상 `targetPort` 는 `port` 필드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 port: 80
targetPort: 80
# 선택적 필드
# 기본적으로 그리고 편의상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은 포트 범위에서 할당한다(기본값: 30000-32767)
nodePort: 30007
ㅇ NodePort 유형에 관한 예시이다.
ㅇ 볼 때마다 헷갈린다. 누구의 port인지 헷갈렸다.
ㅇ 기억을 위한 나만의 표를 만들어 보았다.
type | 누구의 port | 의미 | 메모리 키워드 |
nodePort | node의 port | 외부에서 node로 올 때 | 이름그대로 nodePort |
port | service의 port | node가 service로 보낼 때 | 나 자신은 생략 port |
targetPort | pod의 port | service가 pod(target)에게 던질 때 | service가 던지는 targetPort |
반응형
'Kubernetes > CKA&CK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A] 기출문제 정리 (4) | 2024.02.05 |
---|---|
[CKA] 자격증 합격 후기 및 공부방법 정리 (1) | 2024.02.03 |
[CKA] Udemy 실습문제풀이 - Trouble shooting (0) | 2024.01.28 |
[CKA] Udemy 실습문제풀이 - Networking2 (0) | 2024.01.28 |
[kubernetes] JSONPath 사용법 (1) | 2024.01.2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