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ETERICA
- Pinpoint
- docker
- 공부
- minikube
- aws
- mysql 튜닝
- CloudWatch
- Spring
- 티스토리챌린지
- AI
- 오블완
- CKA 기출문제
- Kubernetes
- APM
-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
- kotlin
- go
- Java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CKA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kotlin querydsl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Elasticsearch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AWS EKS
- Linux
- kotlin coroutine
- golang
Archives
- Today
- Total
피터의 개발이야기
[Node.js] 타임아웃 핸들링 방법 본문
반응형
ㅁ 들어가며
개발 PR을 검토하는 중 타임아웃에 대해 공부하게 되었다. 타임아웃 처리는 분산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핵심 기술이다. 이 글에서는 Node.js 환경에서 발생하는 타임아웃에는 계층이 있고 거기에 맞는 옵션을 선택해야 한다.
ㅁ 시스템 레벨 타임아웃 vs 애플리케이션 레벨 타임아웃
ㅇ 시스템 레벨
- OS/네트워크 스택의 기본 타임아웃
- 예로 TCP 연결에서 3-Way Handshake 구간(SYN-ACK) 연결 시간이다.
ㅇ 애플리케이션 레벨
- 연결이 성립되었고, 이후 서버의 응답을 대기하는 시간이다.
- setTimeout(), --max-time 옵션 등 코드 기반 제어된다.
ㅁ 타임아웃 계층
계층 | 기술 | 예시 |
L7 | HTTP Keep-Alive |
server.keepAliveTimeout
|
L4 | TCP Keepalive |
socket.setKeepAlive()
|
L3 | ICMP Timeout | OS 네트워크 설정 |
ㅁ DNS 타임아웃 특이점
// curl의 DNS 타임아웃 문제 재현 예시
curl(['--max-time', '1', 'https://unresolvable-domain.com'])
.then(result => {
// 실제 10초 이상 소요될 수 있음
});
ㅇ DNS쿼리는 네트워크 스택에서 처리되어 어플리케이션 타임아웃 영향권 밖이다.
ㅇ 이런 경우 --connect-timeout 옵션 병행 사용 권장한다.
ㅁ Node.js 서버 측 타임아웃
// HTTP 서버 타임아웃 설정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
server.setTimeout(5000, socket => {
socket.destroy(); // 타임아웃 시 소켓 강제 종료
});
ㅇ 기본값은 2분이다.
ㅁ HTTP 요청 타임아웃
// 계층적 타임아웃 설정
const agent = new http.Agent({
connectTimeout: 2000, // 핸드셰이크
timeout: 5000 // 전체 요청
});
ㅇ 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 시 장애 전파 방지를 위해 타임아웃을 평균 응답 시간의 3배로 설정한다.
ㅁ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ㅇ Node.js v0.10.7 Manual & Documentation
반응형
'DevOps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Node.js 서버 사이드,찍먹하기 (3) | 2024.09.27 |
---|---|
[Node.js] NodeJS 기본문법 (1) | 2024.09.20 |
[Node.js] PM2를 사용한 Node.js 관리하기(PM2 사용법 정리) (0) | 2024.09.16 |
[Node.js] Docker를 이용한 샘플 node.js 작성 (0) | 2024.09.1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