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inpoint
- 공부
- mysql 튜닝
- Kubernetes
- docker
- kotlin querydsl
- APM
- 티스토리챌린지
- golang
- go
- minikube
- aws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CKA 기출문제
- Elasticsearch
- AWS EKS
- 오블완
- kotlin
- kotlin coroutine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Java
- CloudWatch
- CKA
- Linux
- Spring
-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
- PETERICA
- AI
- Today
- Total
목록DevOps (163)
피터의 개발이야기

ㅁ 네트워크 레이아웃에서 SSL이란? SSL(Secure Sockets Layer)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보호하는 표준적인 보안 프로토콜이다.ㅁ 네트워크 레이아웃에서 SSL의 역할1. 데이터 암호화- SSL은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는 최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이를 통해 악의적인 사용자가 데이터를 도청하거나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SL 암호화는 대칭 및 비대칭 암호화를 결합하여 강력한 보안을 제공한다. 2. 신원 인증- SSL은 서버 인증 및 클라이언트 인증을 제공하여 허위 사이트 또는 허위 사용자로부터 보호다.- 서버 인증 ㄴ 서버는 SSL 인증서를 사용하여 신원을 증명한다. ㄴ 이 인증서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 기..

ㅁ 들어가며ㅇ Terraform으로 minikube를 구축하는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ㅁ minikube 환경ㅇ minikube의 기본으로 설치하였다. ㅇ minikube를 우선 시작한 후에 terraform으로 내부 리소스를 생성한다. ㅁ Provider 설정terraform { required_providers { kubernetes = { source = "hashicorp/kubernetes" version = "2.11.0" } }}provider "kubernetes" { config_path = "~/.kube/config" config_context = "minikube"}ㅇ providers.tf 파일을 생성하였다. ㅁ k8s 설정resour..

ㅁ 들어가며ㅇ Terraform를 로컬에서 사용해 보기 위해 docker로 설치하는 과정이다. ㅁ Terraform 설치# 패키지 저장소 HashiCorp 탭을 설치$ brew tap hashicorp/tap# terraform 설치$ brew install hashicorp/tap/terraform# 설치확인$ terraform --helpUsage: terraform [global options] [args]The available commands for execution are listed below.The primary workflow commands are given first, followed byless common or more advanced commands.~~~~~# 개별 명령어 상..

ㅁ 들어가며ㅇ 내가 사용하는 맥미니의 Docker가 가끔 꺼져있을 때가 있다.ㅇ 원격으로 사용 중 Docker를 켜려면 remote로 원격접속하여 켰는데... 너무나 쉬운 방법이 있었다. ㅁ Docker가 꺼져 있는 상황$ docker ps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Users/peterseo/.docke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ㅇ Docker가 꺼져 있으면 데몬을 실행시켜 달라고 한다. ㅁ 터미널에서 Docker 실행$ open -a Docker

ㅁ 들어가며ㅇ Docker 컨테이너의 통신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를 공부하고 있습니다.ㅇ [Docker] Network,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구조에서 도커 네트워크의 구조를 이해하고 네트워트 설정의 특성을 정리하였습니다.ㅇ [Docker] Network 명령어 정리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CLI 명령어를 정리하였습니다.ㅇ 이번 글에서는 컨테이너의 통신을 상황별로 어떻게 설정하는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ㅁ 브리지 네트워크ㅇ Docker Container를 생성 시 네트워크의 기본은 docker0입니다.# busybox 생성$ docker run -itd --name=busybox busybox# busybox 생성$ docker run -itd --name=busybox2 busybox# brid..

ㅁ 들어가며ㅇ 지난 글에서 [Docker] Network,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구조에서 도커의 기본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정리해 보았다.ㅇ 이번 글에서는 Docker Network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명령문을 정리해 보았다. ㅁ 하위 명령어명령설명docker network ls네트워크 조회docker network create네트워크 만들기docker network inspect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한 자세한 정보 표시docker network connect컨테이너를 네트워크에 연결docker network disconnect네트워크에서 컨테이너 연결 끊기docker network rm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제거docker network prune사용하지 않는 모든 네트워크 제거 ㅁ 네트워크 조회..

ㅁ 들어가며ㅇ 도커 컨테이너의 내부 통신에 대해서 고민하면서 도커 네트워크의 구조에 대해서 공부하게 되었다.ㅇ 이 번 글의 정리 목표는 도커 네트워크의 구조를 이해하고 네트워트 설정의 특성을 이해하여 적절한 네트워크를 구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ㅁ 도커 네트워크의 구조도커 네트워크는 host, Bridge, Container의 관계이다. 가정 홈 네트워크와 비교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Internet을 여러 장비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유기가 필요하다. ㅇ eth0 실제 IP가 할당되는 hos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가정에 제공되는 Internet은 공유기를 통해 다른 장비와 연결된다. ㅇ docker0 도커가 설치될 때, 기본적으로 구성되는 브리지이다. host 네트워크와 containe..

ㅁ 들어가며 ㅇ [Rancher] Rancher란 무엇인가? 에서 Rancher에 대해 알아보았다. ㅇ 이번 글에서는 Rancher 사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컬환경에 Docker로 설치를 해보았다. ㅇ 설치 후 Minikube로 설치된 클러스터를 연동하였다. ㅁ Docker run docker run -d --restart=unless-stopped \ -p 8080:80 -p 8443:443 \ --name rancher \ --privileged \ rancher/rancher:latest ㅁRancher 접속 및 초기 세팅 ㅇ localhost:8080로 접속하였다. ㅇ 처음 실행하면 Rancher의 bootstrap Password를 설정해야 한다. ㅇ 위의 password를 화면에 입력하고 l..

ㅁ 들어가며 ㅇ [Rancher] Rancher란 무엇인가? ㅇ [Rancher] Rancher를 Docker로 설치, minikube 연동 ㅇ 지난 글에서 Rancher란 무엇인지, 사용법을 알기 위해 Docker로 로컬환경에 세팅하여 minikube 클러스터를 연동해 보았다. ㅇ 이번 글에서는 Rancher가 제공하는 메뉴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ㅁ 메인 화면 ㅇ Rancher가 설치되면 기본으로 세팅되는 k3s를 기반으로하는 local 클러스터와 지난 시간 연동한 minikube 클러스터를 확인할 수 있다. ㅇ minikube 클러스터를 선택한다. ㅁ Cluster 메인 ㅇ 클러스터의 전체 Resource 수와 Node 갯수, Deployment 수를 확인할 수 있다. ㅇ 클러스터의 가용성 지표와 E..

ㅁ Rancher란? Rancher는 Kubernetes 기반의 다양한 환경의 Multi Cluster를 운영 및 관리를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Rancher 영단어 뜻 자체가 대규모 목장의 관리자를 뜻한다. Rancher는 어떠한 환경에서도 쿠버네티스 업그레이드, 백업 및 배포가 가능하며, 일괄된 보안정책과 체계적인 사용자 관리를 통해 완전한 쿠버네티스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 클러스터 컨테이너 관리 플랫폼입니다. Rancher는 어떠한 환경에서도 쿠버네티스 업그레이드, 백업 및 배포가 가능하며, 일괄된 보안정책과 체계적인 사용자 관리를 통해 완전한 쿠버네티스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 클러스터, 컨테이너 관리 플랫폼입니다. Rancher는 먼저 모든 클러스터에 대한 인증 및 역할 기반 액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