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PM
- kotlin querydsl
- Kubernetes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kotlin
- mysql 튜닝
- Pinpoint
- CKA 기출문제
- 공부
- aws
- CloudWatch
- Elasticsearch
- minikube
- golang
- AI
- 오블완
- go
- CKA
- PETERICA
- docker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Java
- Spring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AWS EKS
- 티스토리챌린지
- Linux
- kotlin coroutine
- Today
- Total
목록AWS EBS (3)
피터의 개발이야기

ㅁ 이전 글 [EBS] EKS 생성, MongoDB 구성, gp2에서 gp3 EBS 볼륨으로 마이그레이션 [Kubernetes] 쿠버네티스 볼륨 개념 1편 (emptryDir, hostPath) 일전 StorageClass 변경에 관한 글을 작성하면서 AWS 볼륨과 PV, PVC 관계이해 정리한 적이 있다. 그래도 복잡했다. 실제 볼륨의 증설 작업을 하면서 pvc에 스토리지 용량을 변경해야하는지 pv의 스토리지 용량을 변경해야하는 지 헷갈리기도 했는데, 문득 궁금하였다. 왜 pv와 pvc를 구분하여 복잡하게 했을까? 그래서 공부하다가 이해한 부분을 이 글로 정리하게 되었다. 쿠버네티스 환경에서는 데이터의 안정적인 저장을 위해 볼륨을 Pod에 할당하지 않고 AWS 볼륨, PV와 PVC로의 연결, 마지막 P..

ㅁ 개요 ㅇ 이글은 [EBS] EKS 생성, MongoDB 구성, gp2에서 gp3 EBS 볼륨으로 마이그레이션 에서 이어지는 글이다. ㅇ CSI Driver 설치 없이 AWS Console에서 gp2에서 gp3로 타입변경을 한 상태에서 포퍼먼스 테스트를 진행하려 한다. ㅇ 테스트를 위한 gp2 생성과 테스트 pod는 AWS 문서를 참조하였다. ㅁ Storageclasses gp2에 대한 이해[ec2-user@ip-172-31-43-214 gp3Test]$ kubectl get sc gp2NAME PROVISIONER RECLAIMPOLICY VOLUMEBINDINGMODE ALLOWVOLUMEEXPANSION AGEgp2 (default) ..

ㅁ 개요 ㅇ 이전 글인 [Elasticsearch] Elasticsearch DISK IO 병목현상 및 재기동 방법에서 burst traffic으로 인해 ES Data가 병목이 발생하여 해결하는 과정을 정리를 하였었다. ㅇ 현재 E/S Data 볼륨이 brust traffic 상황에서 gp2 볼륨 한계성으로 인해 Throttling 발생하여 2TB의 용량으로 확장하여 6000IOPS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ㅇ gp2에서 gp3의 확장이 필요하며,ES과 같은 대량의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비스에서 gp2보다는 gp3가 비용적 성능적으로 최적화 되어 있어서 구체적으로 그 차이를 정리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였다. ㅁ Amazon Elastic Block Store(EBS)란? Amazon Elastic Bl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