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MySQL
- kotlin querydsl
- Kubernetes
- Linux
- minikube
- AWS EKS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APM
- 티스토리챌린지
- 공부
- PETERICA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바이브코딩
- 오블완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Pinpoint
- aws
- kotlin
- AI
-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
- Java
- go
- Spring
- CKA 기출문제
- SRE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CKA
- CloudWatch
- kotlin coroutine
- golang
Archives
- Today
- Total
피터의 개발이야기
[AI] 문서 기반 개발과 Cursor를 활용한 실전 개발 방법 본문
반응형
ㅁ 들어가며
효율적인 백엔드 개발을 위해 문서 기반 개발(Documentation-Driven Development, DDD)과 AI 코딩 에디터 Cursor를 결합한 개발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식은 개발의 명확성, 생산성, 협업 효율을 극대화한다.
ㅁ 문서 기반 개발(DDD)란
지난 글, 문서 기반 개발(Documentation-Driven Development, DDD)란?
문서 기반 개발은 기능 개발에 앞서 요구사항, 설계, 인터페이스, 데이터 모델 등 모든 내용을 문서로 먼저 정의한다. 문서가 곧 사양이며, 문서에 없는 기능은 구현하지 않는다. 문서를 바탕으로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와 리뷰, 변경 사항도 반드시 문서에 반영한다.
장점
- 요구사항이 명확해진다.
- 협업이 쉬워진다.
- 코드와 문서가 항상 동기화된다.
- 변경 관리가 용이하다.
ㅁ Cursor란
Cursor는 VSCode 기반 AI 코드 에디터다. 코드 자동완성, 자연어 코드 생성, 실시간 오류 감지, 코드 설명, 문서 참조 등 다양한 AI 기능을 제공한다. Notepad, Docs, @docs 참조, .cursorrules 등 문서와 코드를 연결하는 기능이 강점이다.
ㅁ 실전 워크플로우
ㅇ 프로젝트 규칙 및 워크플로우 정의
- .cursorrules 파일에 개발 규칙, 폴더 구조, 네이밍, 승인 절차 등 핵심 원칙을 문서로 정의한다.
- 모든 작업은 문서로 시작해, 승인 후 코드 작성으로 진행한다.
ㅇ 요구사항 및 설계 문서화
- 기능 명세, API 스펙, 데이터 모델, 아키텍처 등 모든 개발 정보를 Markdown 문서로 작성한다.
- Notepad, Docs, @docs 기능으로 문서를 관리한다.
ㅇ 문서 기반 코드 생성
- 코드 작성 시 AI 프롬프트에 문서 경로(@docs/명세.md 등)를 명확히 지정한다.
- 예시:
@docs/api-spec.md 파일을 참고해 User CRUD API 코드를 만들어줘.
- AI가 문서를 바탕으로 코드를 생성한다.
ㅇ 단계별 승인 및 동기화
- 작업(Task) 단위로 문서를 작성하고, 승인 후 코드 작성 및 테스트를 진행한다.
- 코드 변경 시 관련 문서를 반드시 갱신한다.
ㅇ 코드 리뷰, 테스트, 문서화 자동화
- Cursor의 AI 기능으로 코드 설명, Docstring, 테스트 코드, 리뷰 코멘트 등을 자동 생성한다.
- EchoAPI 등 플러그인으로 API 테스트와 문서화도 자동화한다.
ㅁ 바이브 코딩(Vibe Coding) 팁
- AI의 제안을 항상 검토한다.
- 문서와 코드를 반드시 동기화한다.
- 프롬프트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작성한다.
- 반복적으로 문서를 갱신하고, 최신 문서를 AI에 참조시킨다.
ㅁ 마무리
문서 기반 개발과 Cursor를 결합하면, 개발의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명확한 문서와 AI의 코드 자동화 기능을 활용해 빠르고 일관성 있는 개발이 가능하다. 팀 전체의 생산성과 품질이 크게 향상된다.
ㅁ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반응형
'AI > AI개발전략 |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AI 시대 서버 관리자의 미래는? 플랫폼 엔지니어 나아가자! (7) | 2025.08.13 |
---|---|
[AI] 문서 기반 개발 프로세스: AI를 ‘알바생’으로 활용하는 실전 노트 (1) | 2025.07.26 |
[AI] The AI-Native Software Engineer 요약 (2) | 2025.07.11 |
[AI] 환경을 설계하는 시대: 프롬프트에서 컨텍스트 엔지니어링으로 (2) | 2025.07.10 |
[AI] MSA 서비스를 분석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문서 중심 지식기반 개발 전략 (0) | 2025.07.0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