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inpoint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kotlin coroutine
- minikube
- Linux
- Java
- AWS EKS
- kotlin
- 오블완
-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
- CloudWatch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CKA 기출문제
- PETERICA
- Spring
- golang
- docker
- 공부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go
- APM
- aws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Kubernetes
- kotlin querydsl
- mysql 튜닝
- CKA
- 티스토리챌린지
- Elasticsearch
- AI
- Today
- Total
목록개발이야기 (79)
피터의 개발이야기

ㅁ 들어가며 맥이 팬은 잘도 시끄럽다. 그럴 때마다 온도가 궁금하다. 그래서 메뉴바에서 확인하고 싶어서 찾은 프로그램이다. ㅁ 설치 brew install --cask hot ㅇ 설치 엄청 쉽다. ㅁ 앱 실행 ㅇ 내가 설치한 버젼 정보이다. ㅇ 메뉴바에도 온도가 나오고 클릭하면 세부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 ㅁ 부팅 시 자동 실행 설정 ㅇ Start at login 이게 설정한거 전부이다.

ㅁ 들어가며 맥북을 바꿀 때에 기존에 사용하던 무료 앱들을 다시 설치해야 한다. 최근 맥북을 바꾸어서 다시 설치할 겸. 내가 사용했던 무료앱을 정리해 보았다. ㅁ Runcat Runcat은 메뉴바에서 시스템 모니터링을 편리하게 해준다. CPU나 메모리 등 시스템 정보를 표시하여 주고 System Info 메뉴를 통해 시스템의 정보를 간결하게 확인할 수 있다. ㅇ 설치: 앱스토아 이동하여 앱을 다운받는다. ㅇ 일반 세팅 ㄴ Invert speed: 고양이가 빨리 움직인다. ㄴ 맥이 켜지면 자동 실행 ㅇ System Info ㄴ 메뉴바 상단에 표기되는 시스템 정보이다. ㅇ 시스템의 정보를 메뉴바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ㅇ 좀 더 구체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싶으면 Activity Monitor를 누른다...

ㅁ 관련 글 Mac 파일명 깨짐 해결 방법, 자소분리, 한글 자음모음 분리문제 ㅁ 한글 조합형과 완성형이란? ㅇ 조합형 한글 조합형 인코딩 또는 조합형(NFD, Normalization Form Canonical Decomposition)은 한글을 그 낱자에 따라 기계적으로 조합하여 표현하는 문자 인코딩들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한글이 나오는 부분을 SI와 SO로 둘러 싸서 구분하고, 그 안에서는 홀낱자를 순서대로 배열하여 한글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위키백과"는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ㅇㅜㅣㅋㅣㅂㅐㄱㄱㅗㅏ 한글 조합형은 맥OS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ㅇ 완성형 한글 완성형 인코딩 또는 완성형(NFC, Normalization Form Canonical Composition)은 한글을 그 구조와 관계 ..

ㅁ 들어가며 맥의 트랙패드를 사용하여 파일을 드래그하여 옮길 때에 터치가 떨어지면 다시 드래그 할 때가 많다. 이럴 때에 드래그 잠금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ㅁ 드래그 잠금 사용법 파일을 더블 탭하면 실행이 된다. 드래그 잠금 시에는 한번 탭하고 두번째 탭에서 멈추면 드래그가 계속 유지 된다. - 실행 및 오픈: 더블 탭 - 드래그 잠금: 탭 + 홀딩 ㅁ 드래그 잠금 설정 ㅇ 시스템 설정 > 손쉬운 사용 > 포인트 제어기 ㅇ 트랙패드 옵션... 클릭 ㅇ 드래그에 트랙패드 사용으로 변경 ㅇ 드래그 스타일을 드래그 잠금 사용으로 변경

ㅁ 들어가며 맥 키보드의 커멘드 위치가 늘 불편하여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한다. 그 변경 방법을 찾을 때마다 까먹어서 여기에 정리해 둠. ㅁ 시스템 설정 ㅇ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키보드 단축키... 클릭 ㅇ 보조 키 선택 ㅇ 키보드 선택 ㅇ control과 Command 위치 변경 ㅇ 완료

ㅁ 들어가며 아이들 2진수 교육 겸 게임을 위해 2048게임을 알려주었는데, 이게 github에 무료로 올라와 있어서 놀랐다. Docker 공부하면서 docker 샘플 이미지 만들거나 쿠버네티스 앱 만들 때에 게임을 올리는 것도 좋을 것 같아서 이력을 남긴다. ㅁ 2048 GIT 2048게임을 gabrielecirulli 이 웹으로 만들어 주셨다. # 작업공간 생성 $ mkdir peter-2048; cd peter-2048 # git 복제 $ git clone https://github.com/gabrielecirulli/2048 ㅁ 2048 Docker 빌드 준비 경량화를 위해 apline에 nginx을 올려서 빌드한다. ㅇ nginx.conf 생성 user nginx; worker_processes..

ㅁ 들어가며 ㅇ 패러럴즈 데스크탑 19 크랙에서 크랙 적용 단계에서 xcode 에러가 발생하여 트러블 슈팅 이력을 남긴다. ㅁ 에러 내용 xcode-select: error: tool 'xcodebuild' requires Xcode, but active developer directory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 is a command line tools instance ㅇ xcodebuild는 Xcode가 필요하지만 개발자 디렉터리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는 명령줄 도구 인스턴스인 오류이다. ㅁ 해결방법 $ sudo xcode-select -s /Applications/Xcode.app/Contents/Develop..

ㅁ 들어가며 네트워크 복합기를 이용하여 스캔하는 경우, 복합기와 PC간의 연결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SMB를 이용합니다. 대량으로 파일을 옮길 때에는 FTP보다 느렸습니다. SMB(서버 메시지 블록) 프로토콜과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는 모두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과 리소스를 공유하는 데 사용되지만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이 있습니다. ㅁ SMB SMB(Server Message Block) 방식은 윈도우 기반 PC에서 네트워크내에 파일 등을 전송(또는 공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MB는 LAN(Local Area Network)에서 파일 및 프린터를 공유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파일, 프린터 및 기타 리소스에 대한 공유 액세스를 허용합니다. 네트워크 스캔을 위해 사용되는 SMB 방식은 IP 외에 장치이름..

ㅁ 들어가며 Mac으로 파일서버를 만들어 가족사진이나 다양한 컨텐츠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관련 글 맥 파일서버 만들기, SFTP 설정방법에 자세히 설명하였어요. 그런데 Window와 Mac을 함께 쓰다보면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이 한글문제가 언제 발생하는지, 해별방법이 무엇인지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원도우과 맥 자소 분리 복구 프로그램을 누가 만들어 주셔서 아래에 설명을 덧달았습니다. ## 목차 ## 핵심요약 - 해결방법 추가 설명 부분 - 한글깨짐의 종류(인코딩 VS 조합형,완성형) - 한글 조합형과 완성형이란? - 한글 조합형 인식 문제(윈도우에서 맥을 인식못함) 한글이 깨지는 상황 분석 - 맥에서 파일 공유 활성방법 - 윈도우에서 맥으로 파일공유 접근 - 윈도우에..

ㅁ 들어가며 이전 글인 윈도우 11 FTP 서버 설정에서 FTP서버를 구성하고 로컬테스트를 진행하였지만 홈네트워크 안의 다른 컴퓨터에서는 접속이 되지 않았습니다. 방화벽 설정이 원인이었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정리하였습니다. ㅁ 외부에서 FTP 접속 트러블슈팅 ㅇ 다른 맥북에서 연결시도를 하였지만, 192.168.X.X가 접근이 되지 않았습니다. ㅇ 외부 접근 시 방화벽 문제가 있었습니다. ㅁ Windows Defender 방화벽 이동 ㅇ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Windows Defender 방화벽으로 이동합니다. ㅇ 고급 설정을 클릭합니다. ㅇ 인바운드 규칙 중에서 FTP 서버와 관련된 규칙들이 사용중지 상태였습니다. ㅇ 이들 규칙을 사용으로 변경하였습니다. ㅇ 아웃바운드 규칙도 같은 방법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