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mysql 튜닝
- AWS EKS
- go
- AI
- minikube
-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공부
- kotlin querydsl
- 티스토리챌린지
- kotlin coroutine
- Java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Kubernetes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Linux
- kotlin
- CKA 기출문제
- PETERICA
- aws
- APM
- Spring
- Elasticsearch
- CKA
- 오블완
- Pinpoint
- golang
- CloudWatch
- docker
- Today
- Total
목록Kubernetes (135)
피터의 개발이야기

[kubernetes] 개발환경 목차 ㅁ 개요 ㅇ kubectl 출력을 색상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ㅁ 사용예 ㅇ kubectl 출력을 색상화 하여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ㅁ 설치 및 압축 해제 # 다운로드 $ wget https://github.com/hidetatz/kubecolor/releases/download/v0.0.20/kubecolor_0.0.20_Linux_x86_64.tar.gz # 압축해제 $ tar zxvf kubecolor_0.0.20_Linux_x86_64.tar.gz # 생성폴더 확인 $ ls LICENSE README.md kubecolor kubecolor_0.0.20_Linux_x86_64.tar.gz ㅁ Path 이동 및 alias # 실행을 위한 path 이..

[kubernetes] 개발환경 목차 ㅁ kubectl convert란 kubectl convert은 쿠버네티스 커맨드 라인 도구인 kubectl의 플러그인으로서, 특정 버전의 쿠버네티스 API로 작성된 매니페스트를 다른 버전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매니페스트를 최신 쿠버네티스 릴리스의 사용 중단되지 않은 API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ㅁ kubectl convert 플러그인 설치 # for linux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linux/amd64/kubectl-convert" # for mac silicon curl -LO "https://..

ㅁ 개요 ㅇ EKS 업그레이드 작업 테스트를 하면서 프로젝트 내에서 젠킨스의 볼륨이 날아가는 일이 반복되었다. ㅇ 팀에서 백업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고, 그 방법에 대해서 고민하게 되었다. ㅇ 젠킨스 백업 테스트를 위해 젠킨스를 구성하고 백업 방법에 대해서 테스트를 진행하려 한다. ㅇ 빠른 구성을 위해 helm을 이용하여 빠른 구성과 테스트를 진행하려 한다. ㅁ 레퍼런스 탐험 GitHub - jenkinsci/helm-charts: Jenkins community Helm charts Jenkins community Helm charts. Contribute to jenkinsci/helm-chart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ㅇ..

ㅁ 개요 ㅇ 검수기 전용회선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하였다. ㅇ Grafana 컨테이너를 추가하면서 Ingress 변경작업으로 인해 ALB 주소가 변경 되어 발생한 문제점이었다. ㅇ ALB 주소와 연결된 다른 설정부분을 설명하며, 해결과정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ㅁ 검수기 전용회선 네트워크 오류 확인 요청이 인입되어 네트워크 확인 작업 ㅇ전체 네트워크 흐름에 따라 체크를 시작하였다. ㅇ Route53의 레코드 확인, 문제 없음. ㅇ 로드밸런서도 활성화 상태이다. ㅇ 접속 장애가 나고 있는 443 리스너의 대상그룹을 확인해야 한다 ㅇ Grafana 컨테이너 추가 작업 후 외부 접속을 위해 Ingress 수정 작업을 했던 시점에서 헬스케크에 문제점이 시작되었다. ㅇ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IP를 확인해 보았..

ㅁ 개요 ㅇ 검수기 서비스와 연동되어 있는 Agent에서 세션 절단 및 재접속 테스트를 위해 서비스를 단절 및 재기동요청이 왔다. ㅇ 작업을 진행하면서 POD재기동 방법을 정리하였다. ㅁ 테스트를 위한 5개 POD 생성 ㅁ Rollout ㅇ rollout에 명령어에 대한 사용방법이다. kubectl rollout restart deployment hello-world ㅇ rollout은 말그래도 pod들이 순차적으로 재기동되고 있다. ㅇ 순차적으로 재기동 되어 기존 POD는 Terminating 되었다. ㅁ Scale kubectl scale deployment hello-world --replicas=5 ㅇ replicas를 0으로 변경하여 모든 pod를 Terminating 한다. ㅇ replicas..

ㅁ 개요 ㅇ 이전 글에서 skaffold로 kubernetes 로컬 개발환경을 구성하였다. ㅇ 이번 글에서는 kubernetes pod에서 실행 중이 Spring Application를 직접 Debugging 하는 환경을 구성한다. ㅇ 이전 글: [kubernets] Kubernetes 로컬 개발환경 skaffold, Intellij ㅇ 소스 위치 ㅁ Cloud Code Plugin 설치 ㅇ Cloud Code 플러그 인을 설치하였다. ㅇ Cloud 환경에서 개발의 속도와 능률을 증가하기 위해 제공되는 플러그 인이다. ㅇ 쿠버네티스에서 실행되는 resource에 대한 디버깅이 가능하고, 리소스 선언을 위한 YAML 파일 편집을 지원한다. ㅁ Cloud Code:Kubernetes Run Configura..

[kubernetes] 개발환경 목차 ㅁ 개요 ㅇ skaffold와 Intellij를 연동하여 쿠버네티스 로컬 개발환경 세팅하면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정리 ㅇ 이전 글: [kubernets] Kubernetes 로컬 개발환경 skaffold, Intellij ㅁ 목록 ㅇ Gradle 오류발생 ㅇ skaffold build 중 Git init 오류 ㅇ skaffold run 시 image pull 에러 ㅁ 트러블슈팅1, Gradle 오류발생 ㅇ Gradle 7.5가 로컬에서 실행되면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ㅇ 현재 개발환경과 최근 Gradle의 버젼이 맞이 않아서 발생. ㅇ Gradle 6.8.3으로 수정하여 문제 해결함. ㅁ 트러블슈팅2, skaffold build 중 Git init 오류 $ s..

[kubernetes] 개발환경 목차 ㅁ 개요 ㅇ [kubernets] skaffold란, Kubernetes 로컬 개발환경에서 skaffold를 알아보았습니다. ㅇ skaffold와 Intellij를 연동하여 쿠버네티스 로컬 개발환경 세팅하는 과정을 정리하였습니다. ㅇ 궁극적으로 skaffold를 통해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Debug모드로 프로세스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이다. ㅇ skaffold를 구성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트러블 슈팅은 여기에 정리되어 있다. ㅁ Spring 샘플 프로젝트 생성 ㅇ Spring 샘플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Intellij로 실행하였다. ㅇ 참고로 위 이미지는 트러블 슈팅으로 인해 예전에 만든 프로젝트 이름임. ㅁ skaffold.yaml 생성 ㅇ skaffold..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kubernetes] 모니터링 방법 정리 ㅁ 개요 ㅇ 현재 EKS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 중에 Describe를 통해 개별 Event를 확인하기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ㅇ 그래서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이상이 발생한 pod들 전체 event를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ㅁ 테스트용 Pod 실행 $ kubectl run centos --image=centos:7 --port=8081 pod/centos created ㅁ Pod Event 확인 ㅇ kubectl describe po centos 명령어를 통해 하단의 Events를 확인할 수 있다. ㅁ 전체 이벤트 확인 $ kubectl get events LAST SEEN TYPE REASON OBJECT ME..

ㅁ 개요 ㅇ AWS EKS 1.20 지원일이 2022년 11월 1일까지이다. 현재 사용중인 1.20에서 1.21으로, 다시 1.22로 업그레이드 할 예정이다. ㅇ 실질적인 EKS 버젼업 작업을 하기 전에 kubernetes 스키마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ㅁ Amazon EKS Kubernetes 릴리스 일정 ㅇ 자세한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ㅁ kubernetes 클러스터, dry-run Kubernetes CLI(kubectl)에는 클러스터에 적용되기 전에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클러스터에 Kubernetes 리소스를 적용하지 않고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kubectl create 또는 kubectl apply 명령을 수행할 때 dry-ru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