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Elasticsearch
- AWS EKS
- kotlin spring
- IntelliJ
- 공부
- 티스토리챌린지
- minikube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APM
- MySQL
- Kubernetes
- PETERICA
- CKA 기출문제
- kotlin querydsl
- 정보처리기사 실기
- mysql 튜닝
- kotlin
- aws
- Pinpoint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Spring
- AI
- Java
- 오블완
- kotlin coroutine
- Linux
- CloudWatch
- CKA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08)
피터의 개발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iKEjw/btsDC5WsoII/duNAOUQKOEsXJk21dNjDu0/img.png)
ㅁ 관련 글 Mac 파일명 깨짐 해결 방법, 자소분리, 한글 자음모음 분리문제 ㅁ 한글 조합형과 완성형이란? ㅇ 조합형 한글 조합형 인코딩 또는 조합형(NFD, Normalization Form Canonical Decomposition)은 한글을 그 낱자에 따라 기계적으로 조합하여 표현하는 문자 인코딩들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한글이 나오는 부분을 SI와 SO로 둘러 싸서 구분하고, 그 안에서는 홀낱자를 순서대로 배열하여 한글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위키백과"는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ㅇㅜㅣㅋㅣㅂㅐㄱㄱㅗㅏ 한글 조합형은 맥OS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ㅇ 완성형 한글 완성형 인코딩 또는 완성형(NFC, Normalization Form Canonical Composition)은 한글을 그 구조와 관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4Qwp2/btsDBQyDxxv/ocY7IV7bQWuyRS4kcxDQkk/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들어가며 [kubernetes] kubectl yaml 파일 생성, 쿠버네티스 yaml 작성에서 샘플 yaml을 얻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샘플 방법은 다음 세 가지가 있다. 1. dry-run 옵션 사용 2. 생성된 Pod 정보에서 샘플 얻기 3. kubernetes 공식문서에서 샘플 얻기 1번 방법으로 DaemonSet의 샘플을 얻으려니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Deployment의 샘플을 얻어 일부 변경하는 방법을 찾게 되어 그 방법을 정리해 보았다. ㅁ Daemonset 샘플 yaml 얻는 방법 1. delplyment 형태로 우선 샘플 획득 $ kubectl create deployment elasticsearch \ --image=registry.k8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jf5U/btsDAbXKgtg/0qNm4uRXNXRgJl7ggHoEtK/img.png)
ㅁ 방법 요약 # root 로컬 접속 mysql -u root -p # 호스트 접속(도메인) mysql -h peterica.iptime.org -P 3307 -u {user} -p # 호스트 Database 접속 mysql -h peterica.iptime.org -P 3307 -u {user} -p {database_name} # 호스트 접속(ip) mysql -h 127.0.0.1 -P 3307 -u {user} -p ㅇ대문자 구분해야 주의!! -P는 대문자다. ㅁ들어가며 사용자 비밀번호 바꾸려면 root로 들어가야 하는데, 맨날 까먹어서 정리해 놓음. docker로 만들어 놔서 docker -> 컨테이너 -> mysql cli로 접속해야 한다. update... [Mysql] brew mysql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Z7tt/btsDD4igXBF/Kk0GpWgAaIe5fKog4j79X1/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들어가며 스캐줄링에 관련된 명령어 연습 ## 목록 ## 메뉴열 스케줄링 Lable와 Selector, Taint와 Tolerations Node Affinity Resource Limits DaemonSets Static Pod Multiple Schedulers ㅁ Manual Scheduling, node를 지정하여 nginx 생성 $ cat nginx.yaml ---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nginx spec: nodeName: node01 containers: - image: nginx name: nginx $ k apply -f nginx.yaml pod/nginx created ㅇ node를 지정하거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0rgm/btsDAPGfQ7u/o6uBPx0UgzGOQzf3Kbb1nk/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들어가며 kubectl 명령문을 사용하여 pod, deployment, service를 생성 연습해 보았다. ㅁ nginx pod 생성 $ k run nginx-pod --image=nginx:alpine --dry-run=client -o yaml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creationTimestamp: null labels: run: nginx-pod name: nginx-pod spec: containers: - image: nginx:alpine name: nginx-pod resources: {} dnsPolicy: ClusterFirst restartPolicy: Always status: {} ㅁ redis 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goZV/btsDAjnhSwh/WKjkWslMqKoQRN1EHfFIu0/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들어가며 쿠버네티스의 pod, deployment를 생성하기 위해 template를 작성하야 한다. kubectl로 쉽게 샘플 yaml파일 만드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 목차 ## dry-run 옵션 사용 생성된 Pod 정보에서 샘플 얻기 kubernetes 공식문서에서 샘플 얻기 ㅁ dry-run 옵션 사용 ㅇ dry-run 옵션은 실제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테스트를 위한 옵션이다. ㅇ --dry-run=client 요청 시 client에 요청을 보내면 kubectl client가 해석을 하여 yaml 파일을 생성해 준다. $ k run nginx-pod --image=nginx:alpine --dry-run=server -o yaml apiVersion: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EiUJ/btsDyC8BuaF/35W4kYXa8SrHJj2xRtlxK1/img.png)
ㅁ 들어가며 맥의 트랙패드를 사용하여 파일을 드래그하여 옮길 때에 터치가 떨어지면 다시 드래그 할 때가 많다. 이럴 때에 드래그 잠금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ㅁ 드래그 잠금 사용법 파일을 더블 탭하면 실행이 된다. 드래그 잠금 시에는 한번 탭하고 두번째 탭에서 멈추면 드래그가 계속 유지 된다. - 실행 및 오픈: 더블 탭 - 드래그 잠금: 탭 + 홀딩 ㅁ 드래그 잠금 설정 ㅇ 시스템 설정 > 손쉬운 사용 > 포인트 제어기 ㅇ 트랙패드 옵션... 클릭 ㅇ 드래그에 트랙패드 사용으로 변경 ㅇ 드래그 스타일을 드래그 잠금 사용으로 변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VxaD/btsDBbopZaL/QiIKqPF818PhfkAI92GVW1/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들어가며 클러스터 외부에서 파드로 접근할 때 주로 L7 영역의 통신을 담당하는 Ingress를 공부를 하였다. 쿠버네티스의 공식문서를 살펴 보는 중 NGINX 인그레스(Ingress) 컨트롤러로 Minikube에서 인그레스 설정하기 라는 좋은 실습내용이 있어서 내용을 정리하였다. 실습 과정 중 minikube driver가 docker인 경우 ingress 테스트가 불가하여 트러블 슈팅으로 hyperkit으로 변경하는 작업을 같이 수행하게 되었다. 이 과정은 Minikube 드라이브 Hyperkit 설치하기에 정리함. ㅁ 인그레스 컨트롤러 활성화 $ minikube addons enable ingress ㅇ 인그레스를 활성화 활성화한다. 앱 생성 및 Servi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zRNE/btsDxxsJ9eQ/n4g7F5pfhBWdX7myGGLOs0/img.png)
ㅁ 들어가며 minikube의 런타임 드라이브는 Docker Desktop이 기본이다. 인그레스(Ingress) 컨트롤러로 Minikube에서 인그레스 설정하기에서 docker로 Ingress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실패하였다. 그래서 driver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글을 보아서 drive 설치 및 docker의 네트워크 문제에 대해서 분석을 해 보았다. ㅁ Docker 안의 Docker 한계 ㅇ minikube를 사용하면서 네트워크 관련 작업을 할 때에 한계점을 만나게 된다. ㅇ minikube 드라이브를 Docker를 사용할 경우 minikube node는 Docker 컨테이너로 생성된다. ㅇ Ingress로 로드밸런스나 서비스를 생성하여 외부 접속 테스트를 할 때이면 외부에서는 쉽게 접속이 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