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lasticsearch
- Java
- mysql 튜닝
- aws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CloudWatch
- kotlin
- kotlin querydsl
- Linux
- Kubernetes
- APM
- minikube
- kotlin coroutine
- AWS EKS
- 정보처리기사 실기
- AI
- kotlin spring
- IntelliJ
- 티스토리챌린지
- Spring
- Pinpoint
- MySQL
- 공부
- 오블완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CKA 기출문제
- CKA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PETERICA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10)
피터의 개발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Bbw6/btsD1aYQOo6/kqPKuFa2l9JEY6kjGWr0dk/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관련 글 목차 ㅇ CKA 공부하면서 Service의 port들이 자꾸 헷갈렸다. 누구의 port인가? 기억을 위해 표를 만들었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ervice spec: type: NodePort selector: app.kubernetes.io/name: MyApp ports: # 기본적으로 그리고 편의상 `targetPort` 는 `port` 필드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 port: 80 targetPort: 80 # 선택적 필드 # 기본적으로 그리고 편의상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은 포트 범위에서 할당한다(기본값: 30000-32767) nodePort: 30007 ㅇ NodePort 유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MwFP/btsD3JscBSh/kGekNOiKYJMMgiyk1dWX5k/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관련 글 목차 ㅁ 들어가며 ㅇ Udemy, Practice, TROUBLESHOOTING 공부 메모. ㅁ APPLICATION FAILURE ㅇ 잘못된 서비스 명 수정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ql-service namespace: alpha spec: ports: - port: 3306 targetPort: 3306 selector: name: mysql ㅇ mysql-service의 target port 수정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ql-service namespace: beta spec: ports: - port: 3306 targetPor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LZS8/btsD3LpPH8i/kko81GshGqA54unlYUK8jk/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관련 글 목차 ㅁ 들어가며 ㅇ Udemy, Practice, Networking 공부 메모 2. ㅁ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ㅇ The Ingress resource ㅁ Ingress 생성 $ kubectl create configmap ingress-nginx-controller --namespace ingress-nginx configmap/ingress-nginx-controller created ㅁ ServiceAccount 생성 NGINX 수신 컨트롤러에는 두 개의 ServiceAccount가 필요합니다. ingress-nginx 네임스페이스에 ingress-nginx 및 ingress-nginx-admission 이름을 사용하여 ServiceAccount를 모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186rr/btsD4TU9RZL/jwm1F8gzY1kWKFhPh9KLTK/img.png)
ㅁ 들어가며 ㅇ linux에서 JSON을 가공하여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JPATH 사용법을 정리하였다. ㅇ javascript와 똑같은 사용방식이라 직관적이었다. ㅁ Object 참조 # sample.json { "car": { "color": "blue", "price": "$20,000" }, "bus": { "color": "white", "price": "$120,000" } } # JSON 트리 참조 구조 1단 $ cat sample.json | jpath $.car [ { "color": "blue", "price": "$20,000" } ] # JSON 트리 참조 구조 2단 cat sample.json | jpath $.car.price [ "$20,000" ] ㅇ 점을 기준으로 종..
[kubernetes] 쿠버네티스 관련 글 목차 ㅁ 들어가는 말 ㅇ kubernetes의 오브젝트들을 조회하고 그 결과를 JSON 형태로 받을 수 있다. ㅇ JSONPath를 이용하여 원하는 결과물로 가공할 수 있다. ㅇ kubernetes 자격 시험은 CKA를 공부하면서 사용법을 남겨보았다. ㅁ 관련 글 ㅇ kube doc - JSONPath 지원 ㅇ [shell] JSON 깔끔히 볼 수 있는 jq 명령어 ㅁ JSONPath 표현식 # 기본 json 출력 $ kubectl get nodes -o json # json 최상위 객체 $ kubectl get pods -o=jsonpath='{@}' {"apiVersion":"v1","items":[],"kind":"List","metadata":{"res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0mab0/btsD2xslo4x/Ks9KHLfG26hVhHrkqSdE8K/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관련 글 목차 ㅁ 들어가며 ㅇ Udemy, Practice, Networking 공부 메모. ㅁ 관련 글 ㅇ Installing Addons ㅇ Cluster Networking ㅇ[kubernetes network] CNI란? ㅁ Explore Environment ㅇ network interface chk? # node internal ip chk $ k get no -o wide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INTERNAL-IP EXTERNAL-IP OS-IMAGE KERNEL-VERSION CONTAINER-RUNTIME controlplane Ready control-plane 15m v1.27.0 192.7.203.9 Ubuntu 2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bvnT/btsD4V6m3z6/nMNIcOXt1OZGSC1RTgbK30/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관련 글 목차 ㅁ 들어가며 ㅇ Udemy강의를 시청하고 Practice Test를 중심으로 Storage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ㅁ 관련 글 ㅇ [AWS] Amazon EBS 볼륨 증설 및 kubenetes PV, PVC 볼륨 수정 과정 정리 ㄴ AWS EBS- PV -PVC와 연계하여 AWS EBS를 증설하고 PVC의 storage capacity를 수정하는 과정을 정리함. ㄴ [AWS] Amazon EBS gp2 vs gp3 비교 볼륨을 증설하는 이유를 알기 위해 정리한 글 이후 아래의 글에서 gp3로 변경함 ㅇ[EBS] EKS 생성, MongoDB 구성, gp2에서 gp3 EBS 볼륨으로 마이그레이션 ㄴ gp2는 용량에 따라 IOPS를 증설할 수 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RblO/btsDWHPt3E4/XhL9sUx3RchdP5pKesyRS0/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관련 글 목차 ㅁ 들어가며 ㅇ Udemy, Practice, Security 공부 메모. ㅁ View Certificate Details ㅇ 인증서? 클라이언트 인증서로 인증을 사용하는 경우 easyrsa, openssl 또는 cfssl 을 통해 인증서를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 kube-api server의 certificate file? $ cat /etc/kubernetes/manifests/kube-apiserver.yaml | grep "tls-cert-file" ㄴ kube doc - certificate file + apiserver 검색 ㄴ Certificate paths # Certificate issuer $ openssl x509 -in /et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on5f/btsDXFXtoxK/7MOCxi2QZ2aIwArIPHFl70/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관련 글 목차 ㅁ 들어가며 ㅇ Udemy, Practice, Cluster Maintenance 공부 메모. ㅁ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ㅇ kubectl 문법서 ㅁ OS Upgrade # node unschedulable k drain node01 --ignore-daemonsets # node Schedulable k uncordon node01 # pod만 있는 경우 손실 우려로 인해 drain이 되지 않음. node/node01 already cordoned error: unable to drain node "node01" due to error:cannot delete Pods declare no controller (use --force to overrid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PNoA/btsDT3SsLT4/5N5BWv1Bp7LIVIFNBKTDK0/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관련 글 목차 ㅁ 들어가며 ㅇ Udemy, Practice, 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공부 메모. ㅁ 관련 지식 ㅇ 다운워드(Downward) API ㄴ 다운워드 API는 컨테이너가 자기 자신 혹은 클러스터에 대한 정보를, 쿠버네티스 클라이언트나 API 서버 없이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ㅁ secret 생성 k create secret generic db-secret --from-literal=DB_Host=sql01 --from-literal=DB_User=root --from-literal=DB_Password=password123 --dry-run=client -o yaml> sec.yaml ㅇ 컨테이너 환경 변수로 사용하기 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