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ETERICA
- 티스토리챌린지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mysql 튜닝
- Spring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Java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kotlin querydsl
- aws
- 공부
- Linux
- kotlin coroutine
- MySQL
- Elasticsearch
- Kubernetes
- AI
- AWS EKS
- APM
- CKA 기출문제
- 오블완
- kotlin spring
- CloudWatch
- Pinpoint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minikube
- CKA
- 정보처리기사 실기
- IntelliJ
- kotlin
- Today
- Total
목록PETERICA (600)
피터의 개발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A5j9/btsDLI7o7zg/Z1hkNf5lKzaGqIqf1yzkU0/img.png)
ㅁ 들어가며 어항 청소를 하는데 늘 고민이 들었습니다. 생각보다 물고기들 배설물이 너무 많다는 것입니다. 완벽하게 걸러지지 않아 청소를 해도 깨끗하다는 느낌이 쨍하니 들지 않았습니다. 고민하다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 물티슈로 배수를 필터하자!! 생각보다 청소가 훨씬 수월하였습니다. 이 글에서 그 방법을 공유드립니다. ㅁ 구피 어항 청소 주기 우선 청소주기를 많이 궁금해 하실 것 같아서 말씀을 드립니다. 저는 청소주기 한달을 넘지 않았습니다. 그냥 더러워서 청소하는게 속편했습니다. 더러 다른 분들은 물고기가 10마리 미만이면 2달에 한번 청소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개인의 성향이지만 저는 한달을 넘지 않았습니다. 청소를 다시해야 하는 시기는 확실하게 얼마나 더러워지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필터를 사용하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QjPM/btsDKzQkQ20/l810lnf5UCRVlQX3FXKuMk/img.png)
ㅁ 관련글 ㅇ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ㅇ 실무경험: [kubernetes] metricbeat kubernetes DNS lookup failure: no such host 해결방법, kubernetes DNS 접속 ㄴ kubernetes DNS lookup 실패 오류를 해결하면서 network 테스트 수행함. ㅁ 들어가며 kubenetes의 네트워크를 확인하고 연동테스트를 하는 방법들을 정리하였다. ㅁ Kubernetes에서 DNS 쿼리 작동방식 포드가 DNS 조회를 수행하면 쿼리는 먼저 포드의 local DNS resolver로 전송된다. 이 해석기는 resolv.conf 구성 파일을 사용한다. 이 파일에서 nodelocaldns 서버는 캐시 역할을 하는 기본 재귀 DNS 확인자로 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46H5G/btsDIxfcNiQ/BllxEEJfrrQucIdam1tOZk/img.png)
ㅁ 관련 글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kubernetes] 모니터링 방법 정리 [kubernetes] 개발환경 목차, kubectl, Datree, eksctl, k9s, skaffold, LENS, OPENLENS [kubernetes] LENS 설치 및 minikube 클러스터 연동 [kubernetes] OpenLens 설치 및 minikube 연동, OpenLens 노드/포드 메뉴 확장 ㅁ 들어가며 LENS는 기존의 쿠버네티스 대시보드와 비슷하지만 쿠버네티스를 모니터링 및 관리 개발할 수 있은 IDE이다. 기존의 쿠버네티스 대시보드가 localhost만 가능한 반면 LENS는 연결만 하면 원격의 K8S 클러스터도 같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의 IDE라고 하는 LENS 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BjNm/btsDKPyQo8A/7GEyrc92d9aZ13KkKKdBqK/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kubernetes] 모니터링 방법 정리 ㅁ 들어가며 Pod의 애플리케이션의 로그를 분석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ㅁ 로그 분석 방법 # Pod 조회 $ k get po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webapp-1 1/1 Running 0 8m22s # webapp-1 로그 조회 $ k logs webapp-1 .......... [2024-01-20 13:59:34,517] INFO in event-simulator: USER3 is viewing page2 [2024-01-20 13:59:35,518] INFO in event-simulator: USER4 is viewing page1 [2024-01-20 13:59:36,519] 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SaYU/btsCOELrKvL/OAI4JA2eMpCU5if670xLk0/img.png)
ㅁ 들어가며 쿠버네티스 환경을 운영하면서 실 운영경험과 필요 시 작성한 개념들이 정리되지 않게 나열되어 있었습니다. 막상 이것저것 정리하였지만 전체적인 개념을 이해하기는 어려운 구조였습니다. 그래서 전체적인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구조화 하기 위해 쿠버네티스 목차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쿠버네티스 개념 정리ㅁ [kubernetes] Kubernetes란 이 글은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 중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를 바탕으로 쿠버네티스 개요를 정리하였다. ㅁ 쿠버네티스 개념 정리 쿠버네티스는 압축해서 설명하면 오픈소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겠지만, 보다 복합적인 환경적 변화 안에서 이해하려고 하였습니다. 서버환경의 추상화(물리, VM, 컨테이너)를 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4FqK/btsDGvvnpXF/dXsSAiLS0qb4byufKtu1kK/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Pod 삭제 $ kubectl delete po redis pod "redis" deleted ㅇ Pod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ㅇ 다량의 Pod를 삭제할 경우 하나씩 하기가 번거러울 수 있다. ㅁ Pod 전체 삭제 $ kubectl get pods --no-headers | awk '{ print $1};' | xargs kubectl delete pods pod "nginx" deleted ㅇ Pod 정보를 조회하여 awk로 인수를 필터하고 xargs도 Pod별로 삭제 명령을 주면 전체 삭제가 가능하다. ㅇ 명령어가 어떻게 구동하는지 풀어서 설명하면... ㅁ 명령어 빌드업 과정 ## 테스트를 위한 minikube 기동 $ minikube start 😄 Da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2aTi/btsDGkf5XCY/p3ZJkJUnfLTcnbkXBHP3M1/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들어가며 이번 글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환경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을 아래의 그룹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ㅇ System Info : 시스템 정보인 CPU와 Memory 사용량에 대한 모니터링 ㅇ Cluster Events : kubernetes cluster에서 변화가 생기면 Event가 생성된다. 이를 Event를 확인하는 방법과 EKS에 순단 장애 발생 대처하는 과정 ㅇ 모니터링 UI :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Prometeus+ Grafana와 같은 UI 모니터링 환경 ㅇ 서비스 모니터링 : 대량 트레픽 서비스를 운영하며 고가용성, 리소스 최적화를 통한 비용절감에 대한 글을 정리 사실 이미 있던 글을 그룹화하여 전반적인 쿠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5ahA/btsDBzRTASE/TeVdFuhHbdHt0LlQAtGvW0/img.png)
ㅁ 들어가며 맥북을 바꿀 때에 기존에 사용하던 무료 앱들을 다시 설치해야 한다. 최근 맥북을 바꾸어서 다시 설치할 겸. 내가 사용했던 무료앱을 정리해 보았다. ㅁ Runcat Runcat은 메뉴바에서 시스템 모니터링을 편리하게 해준다. CPU나 메모리 등 시스템 정보를 표시하여 주고 System Info 메뉴를 통해 시스템의 정보를 간결하게 확인할 수 있다. ㅇ 설치: 앱스토아 이동하여 앱을 다운받는다. ㅇ 일반 세팅 ㄴ Invert speed: 고양이가 빨리 움직인다. ㄴ 맥이 켜지면 자동 실행 ㅇ System Info ㄴ 메뉴바 상단에 표기되는 시스템 정보이다. ㅇ 시스템의 정보를 메뉴바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ㅇ 좀 더 구체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싶으면 Activity Monitor를 누른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48lRQ/btsDA3MCupo/Fk0swdrEG4eurOxgVkH9tK/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들어가며 쿠버네티스는 기본 스케줄러 하나를 사용한다. 하지만 모든 Application이 하나의 스케줄에 만족하지 못할 경우, 다중스케줄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번 글은 쿠버네티스 문서, 다중 스케줄러 설정를 보고 실습 정리한 내용이다. ㅁ 스케줄러에서 사용할 Deployment 생성 아래의 Deployment 생성문은 클러스터 내에 직접 파드를 생성하는 Static Pod([kubernetes] Static Pod란?)가 아닌 Deployment의 형태로 만들어져 레플리카 셋에 의해 관리된다. 스케줄러 또한 파드로 관리하기 때문에 유동적인 스케줄러를 만들 수 있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Account metadata: name: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4p58k/btsDES3qSAQ/qCWAt4ZoBMSjWSuPYFRRD0/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Static Pod란 Static Pod란 API-Server 없이 특정 노드에 있는 kubelet 데몬에 의해 직접 관리된다. 컨트롤 플레인에 의해 관리되는 파드(예 Deployment)와는 달리, kubelet이 직접 스태틱 파드를 감시한다. 스태틱 파드는 Kubelet가 관리상 특정 노드에 있는 하나의 Kubelet에 매여 있다. Kubelet은 Pod를 관리하는 Pod이기 때문에 데온에 가깝다. 노드에서 구동되는 스타틱 파드는 API 서버에 의해서 볼 수 있지만, API 서버에서 제어될 수는 없다. ㅁ 조회방법 $ k get po -A | grep controlplane kube-system etcd-controlplane 1/1 Running 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