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kotlin
- PETERICA
- 정보처리기사 실기
- Java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IntelliJ
- CKA
- Elasticsearch
- Kubernetes
- MySQL
- CKA 기출문제
- Pinpoint
- 티스토리챌린지
- kotlin querydsl
- 오블완
- Linux
- minikube
- kotlin spring
- aws
- 공부
- mysql 튜닝
- CloudWatch
- Spring
- AWS EKS
- kotlin coroutine
- APM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AI
- Today
- Total
목록PETERICA (600)
피터의 개발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203xb/btsDuyjKmcx/lqcSIGDMOFn6EKGXKJLjGK/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들어가며 kubectl 명령어 중 Core에 해당하는 Pod에 관한 명령어 정리 ㅁ Pod 관련 명령어 # nginx pod 생성 kubectl run nginx --image=nginx # pod 조회 kubectl get po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nginx 1/1 Running 0 28s ㅁ Pod의 Node 위치는? $ kubectl get po -o wid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OMINATED NODE READINESS GATES nginx 1/1 Running 0 7m37s 10.42.0.9 controlplane newpods-ld4lk 1/1 Running 0 7..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0dHSX/btsDp6ozErp/W9bvrWGsnnm7hivfLaK24K/img.png)
ㅁ 들어가며 아이들 2진수 교육 겸 게임을 위해 2048게임을 알려주었는데, 이게 github에 무료로 올라와 있어서 놀랐다. Docker 공부하면서 docker 샘플 이미지 만들거나 쿠버네티스 앱 만들 때에 게임을 올리는 것도 좋을 것 같아서 이력을 남긴다. ㅁ 2048 GIT 2048게임을 gabrielecirulli 이 웹으로 만들어 주셨다. # 작업공간 생성 $ mkdir peter-2048; cd peter-2048 # git 복제 $ git clone https://github.com/gabrielecirulli/2048 ㅁ 2048 Docker 빌드 준비 경량화를 위해 apline에 nginx을 올려서 빌드한다. ㅇ nginx.conf 생성 user nginx; worker_processe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zZco/btsDrDlhKNC/vjZMbBaxqpeQLEV4RVDIDk/img.png)
ㅁ 들어가며 네트워크의 연결에 대해서 논할 때에 자주 듣게 되는 단어인 NAT, 브릿지, Virtual Network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ㅁ NAT이란?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약자로써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의미한다. 사설 IP 주소로는 원칙적으로 외부와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공인 IP 주소로 중간에 변환해 주어 외부와 통신(인터넷 연결)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192.168.xx와 같은 사설(Private) IP 주소로는 외부와 통신(인터넷 연결 등) 할 수 없다. 외부와 통신할 수있는 IP주소는 오직 인터넷 IP 주소 관리 기관에서 공식적으로 발급한 공인(Public) IP 주소 뿐이다. NAT을 사용하는 목적 첫째, 인터넷의 공인 IP주소를 절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28E5g/btsDrJevUmU/QM65hrAjZ3meaLOmqkzPi1/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들어가며 [kubernetes] 쿠버네티스 리소스에서 리소스의 개요를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리소스 중에서 Controller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ㅁ 컨트롤러란? 컨트롤러(Controller)는 선언적 요구사항, desired state에 맞추기 위해 클러스터를 모니터링하고 이벤드에 응답하여 리소스를 관리 한다. 예를 들어 실내 온도 조절기에 사용자는 온도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의도한 상태를 맞추기 위해 온도 조절기는 장비를 켜고 꺼서 현재 상태를 의도한 상태에 가깝게 만들어 준다. ㅁ 쿠버네티스 배포 방식 다양한 배포 방식 다양한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배포 방식을 지원한다. Deployment는 새로운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전략으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VDCO/btsCK80TKjV/n3GDnCu0ypaW8kiymK3mqK/img.png)
ㅁ 들어가며 쿠버네티스의 개발환경에 대해서 여러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어떤 글이 정리되어 있는지 목차를 작성하였습니다. ㅁ kubectl ㅇ [kubernetes] kubectl 사용법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접하는 것은 kubectl이라는 커맨드라인이다. 쿠버네티스 자원들의 CRUD, 생성된 자원들의 모니터링 및 트러블 슈팅, 트래픽 운영상황에서의 클러스터 관리까지 다양한 명령어가 존재한다. Devops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꼭 필요했던 명령어, 혹은 미쳐 몰랐지만 꼭 필요한 명령어를 빠르게 찾아가는 방법을 이 글에서 정리하고자 한다. ㅇ [kubernetes] Kubectl 명령어 모음 자주 쓰는 명령어를 22개 항목으로 나열하여 정리하였다. ㅇ [kubernetes] kubectl 자동완성..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eZI/btsDqnwnur3/teofcoAHLIxiV30JIHz3u0/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목차 ㅁ 들어가며 지난 글, [kubernetes] 쿠버네티스 아키텍처에서 아키텍처 구조를 이야기 하였다. 클러스터라는 논리적 단위 안에 Master Node와 Work Node가 있고, 그 안에 추상화된 쿠버네티스의 최소 단위인 Pod와 Container의 계층적 구조를 살펴 보았고, Master Node와 Work Node에 속해 있는 모듈들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쿠버네티스의 관리 최소 단위인 Pod를 중심으로 이를 관리하기 위한 많은 리소스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ㅁ 리소스 개요 리소스는 Kubernetes에서 정의한 인프라의 기능 명세서(Spec)로, 사용자가 등록한 선언적 요구사항(desired state)d에 맞도록 Kubernetes가 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HbXg/btsDqPr4hIi/VdjyDDxzECBCjmbez1I160/img.png)
ㅁ 들어가며 ㅇ 패러럴즈 데스크탑 19 크랙에서 크랙 적용 단계에서 xcode 에러가 발생하여 트러블 슈팅 이력을 남긴다. ㅁ 에러 내용 xcode-select: error: tool 'xcodebuild' requires Xcode, but active developer directory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 is a command line tools instance ㅇ xcodebuild는 Xcode가 필요하지만 개발자 디렉터리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는 명령줄 도구 인스턴스인 오류이다. ㅁ 해결방법 $ sudo xcode-select -s /Applications/Xcode.app/Contents/Develo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FQs9/btsDkCz7gsn/rwW0IWDlZgTifnYNU3ahvK/img.png)
ㅁ 들어가며 겨울철이 되면서 매연 필터 재생 경고가 자주 발생하였다. 그래서 엔진상태가 걱정이 되었다. 디젤은 DPF를 잘 관리해야 연비에도 좋고 엔진 소음도 줄일 수가 있다. 필터가 막히면 불연소가 되고 그러면 더 많은 찌꺼기가 생기게 되어 악순환이 발생하여 엔진의 성능을 악화시킨다. 그래서 엔진의 상태를 확인하고 싶어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포카스캐너를 설치하였다. 관련글 매연 필터 재생 경고 대응방법 ㅁ INFO CAR 포장 ㄴ OBD 포장은 단순했다. OBD + 설명서 끝. ㅁ 설치 ㄴ 카니발 4세대의 OBD 위치는 운전자석 왼쪽 퓨즈박스 아래에 있다. ㄴ 배터리 소모 방지: 사용하지 않을 때는 INFO CAR의 전원버튼을 눌러 끄면 된다. ㅁ 앱 설치 및 연동 ㅇ 갤럭시s21 Ultr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5QIL3/btsDmq0wRE1/a8gSqhSUF0al28mjq9HD20/img.png)
ㅁ 들어가며 네트워크 복합기를 이용하여 스캔하는 경우, 복합기와 PC간의 연결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SMB를 이용합니다. 대량으로 파일을 옮길 때에는 FTP보다 느렸습니다. SMB(서버 메시지 블록) 프로토콜과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는 모두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과 리소스를 공유하는 데 사용되지만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이 있습니다. ㅁ SMB SMB(Server Message Block) 방식은 윈도우 기반 PC에서 네트워크내에 파일 등을 전송(또는 공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MB는 LAN(Local Area Network)에서 파일 및 프린터를 공유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파일, 프린터 및 기타 리소스에 대한 공유 액세스를 허용합니다. 네트워크 스캔을 위해 사용되는 SMB 방식은 IP 외에 장치이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uUmo/btsC7s65VJC/tSlA83paBO8mg67JkFkjjk/img.png)
ㅁ 들어가며 MongoDB를 활용할 기회가 있어서 사용법을 공부하기 위해 Docker로 mongoDB를 생성하였다. 잠시 테스트용이라 빠르게 실행하는 방법으로 정리하였다. update 24.1.10 ㄴ 빠르게 실행하면서 보안 설정을 1도 하지 않았는데... 하루도 안되어서 해킹당하네요. 마지막에 해킹당한 정황을 정리하였습니다. ㅁ MongoDB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 $ docker pull mongo Using default tag: latest latest: Pulling from library/mongo 005e2837585d: Pull complete e60b3ed21100: Pull complete 81fcf60fea85: Pull complete 05da3aee34af: Pull co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