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olang
- go
- Elasticsearch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CKA
- Kubernetes
- aws
- kotlin coroutine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APM
- Spring
- kotlin querydsl
-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
- Pinpoint
- AWS EKS
- docker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Java
- CloudWatch
- mysql 튜닝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PETERICA
- kotlin
- minikube
- AI
- 공부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CKA 기출문제
- Linux
- Today
- Total
목록taint toleration (2)
피터의 개발이야기

ㅇ taint 특정 키와 값이 일치하는 Pod만 해당 노드에서 예약되도록 한다. - 워커노드의 특성에 따른 Pod배치 시에 유용하다. $ kubectl taint nodes app=statistics:NoSchedule 예를 들어 통계작업을 하는 Pod의 경우 메모리 사용량이 높기 때문에 메모리에 특화된 WorkNode그룹에 스케줄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 위와 같이 taint를 적용하여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위에서 추가했던 테인트를 제거하려면, 다음을 실행한다. 명령 끝에 있는 '-'만 유일한 차이점이다. $ kubectl taint nodes app=statistics:NoSchedule- ㅇ toleration - taint에 대한 관용이다. 그래서 노드에 설정 taint가 다른 Pod S..

ㅁ 개요 taint와 tolerations는 주로 노드를 특정해서 스케줄하기 위해 사용한다. taint가 걸려 있는 노드에는 toleration을 주지 않으면 kube-system의 coreDns, metric-server 등 pending된다. 해결 방법은 toleration을 주는 것이다. ㅁ CloudFormation으로 특정노드에 taint 주입 ㅇ CloudFormation으로 WorkNode의 AutoScale그룹까지 생성된다. ㅇ 이 때에 생성되는 노드에 taint를 주입하였다. ㅁ 시스템 Pod들의 Pending 확인 68s Warning FailedScheduling pod/coredns-556f6dffc4-bfs7s 0/2 nodes are available: 2 node(s) ha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