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CloudWatch
- IntelliJ
- minikube
- Elasticsearch
- Kubernetes
- mysql 튜닝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CKA
- 공부
- CKA 기출문제
- kotlin
- 티스토리챌린지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Spring
- Pinpoint
- kotlin spring
- MySQL
- Java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실기
- Linux
- kotlin querydsl
- APM
- AI
- PETERICA
- kotlin coroutine
- 오블완
- AWS EKS
- aws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Archives
- Today
- Total
피터의 개발이야기
[kubernetes] that the pod didn't tolerate. 트러블 슈팅, taint와 toleration 본문
Kubernetes/트러블슈팅&장애대응
[kubernetes] that the pod didn't tolerate. 트러블 슈팅, taint와 toleration
기록하는 백앤드개발자 2022. 10. 21. 10:10반응형
ㅁ 개요
taint와 tolerations는 주로 노드를 특정해서 스케줄하기 위해 사용한다. taint가 걸려 있는 노드에는 toleration을 주지 않으면 kube-system의 coreDns, metric-server 등 pending된다. 해결 방법은 toleration을 주는 것이다.
ㅁ CloudFormation으로 특정노드에 taint 주입
ㅇ CloudFormation으로 WorkNode의 AutoScale그룹까지 생성된다.
ㅇ 이 때에 생성되는 노드에 taint를 주입하였다.
ㅁ 시스템 Pod들의 Pending 확인
68s Warning FailedScheduling pod/coredns-556f6dffc4-bfs7s 0/2 nodes are available: 2 node(s) had taint {dedicated: rsts}, that the pod didn't tolerate.
68s Warning FailedScheduling pod/coredns-556f6dffc4-d7zgd 0/2 nodes are available: 2 node(s) had taint {dedicated: rsts}, that the pod didn't tolerate.
taint 조건에 따른 toleration이 주어지지 않은 Pod는 해당 노드에 스케줄링 할 수 없기 때문에 pending 되고 위와 같은 경고 이벤트를 남긴다.
ㅁ toleration 적용
# deployment 수정
$ kubectl edit -n kube-system deployments.apps coredns
... 생략 ...
tolerations:
- effect: NoSchedule
key: node-role.kubernetes.io/master
- key: CriticalAddonsOnly
operator: Exists
ㅇ 수정을 완료하면 coredns 새롭게 생성된다.
ㅁ pod 스케줄 확인
ㅇ pending 되었던 addon coredns가 정상적으로 스케줄링 되었다.
ㅁ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테인트(Taints)와 톨러레이션(Tolerations)
노드 어피니티는 노드 셋을 (기본 설정 또는 어려운 요구 사항으로) 끌어들이는 파드의 속성이다. 테인트 는 그 반대로, 노드가 파드 셋을 제외시킬 수 있다. 톨러레이션 은 파드에 적용된다. 톨
kubernetes.io
반응형
'Kubernetes > 트러블슈팅&장애대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