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ySQL
- PETERICA
- AI
- minikube
- 정보처리기사 실기
- 공부
- 정보처리기사실기 기출문제
- AWS EKS
- 오블완
- mysql 튜닝
- kotlin spring
- 티스토리챌린지
- CKA 기출문제
- Pinpoint
- 코틀린 코루틴의 정석
- CKA
- kotlin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 Linux
- IntelliJ
- Kubernetes
- kotlin coroutine
- APM
- 기록으로 실력을 쌓자
- Spring
- Elasticsearch
- Java
- CloudWatch
- aws
- kotlin queryds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08)
피터의 개발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rvhE/btshFarRwxY/OnRZZsTk5k9cigtxKdeikk/img.jpg)
[kubernetes] 쿠버네티스 관련 글 목차 ㅁ 들어가며 Udemy, certified-kubernetes-administrator-with-practice-tests > Mock test 과정을 정리하였습니다. git 문제풀이 - Solution 1. Create a new service account with the name pvviewer. Grant this Service account access to list all PersistentVolumes in the cluster by creating an appropriate cluster role called pvviewer-role and ClusterRoleBinding called pvviewer-role-binding. Next, c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3f9QD/btsBHS6kSVL/RcZtnJDZAlgEZVdLqh96Xk/img.png)
ㅁ 개요 ㅇ Redis 모니터링에 관한 글을 적으면서 정작 Redis를 왜 모니터링 해야하는 지 정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ㅇ Redis를 메인디비로 쓰고 있는 이유와 그로인해 서비스 performance를 위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를 정리하였다. ㅁ 고가용성 쿠버네티스 환경에서의 Redis의 필요성 RDS의 속도한계는? 내가 현재 담당하고 있는 서비스는 금융사들의 대량 메시지를 처리하는 업무이다. 유동적인 고객의 트래픽을 소화하기 위해 AWS +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오케스트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고가용으로 처리하고 있다. 대량 트래픽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RDS의 환경은 한계가 있었다. 버스트 트래픽이 발생하면 집중적으로 하나의 테이블에 데이터를 Create, Update하기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yu6y/btsEVcGVWuu/SMCl1wEhHr7OgCWTsxjIE1/img.png)
ㅁ 들어가며 웹앱을 만드는 과정에서 Webview를 띄워 특정 URL를 테스트 하는 과정에서 IOS는 잘 나오는데, 안드로이드는 나오지 않는 문제 발생하였는다. Android WebView에 http를 허용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ㅁ 에러 내용 Webpage not available The webpage at could not be loaded because: net:ERR_CLEARTEXT_NOT_PERMITTED ㅇ url이 http이기 때문에 net permition문제가 발생하였다. ㅇ 관련된 문제의 해결책을 Developers에서 http로 검색해 보았다. ㅁ 해결방법 탐색- iOS와 Android의 HTTP 연결 정책 변경 확인 및 해결방법 ㅇ iOS 및 Android에서는 안전하지 않은 H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DCwp/btsETqFfYQe/HX4bSXxkD9DY27zy78luAK/img.png)
ㅁ 들어가며 Mac 파일명 깨짐 해결 방법, 자소분리, 한글 자음모음 분리문제을 설명하면서 작성한 글입니다. 맥과 윈도우를 동시에 사용하다보면 파일공유가 문제가 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에 윈도우에서 폴더를 공유하여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우선, 파일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인 SMB를 설명드릴께요. ㅁ SMB란? SMB는 Server Message Block의 약자, 파일이나 프린터를 네트워크에서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MB는 원도우 개발사인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되었습니다. 현재 많은 기업에서 파일 공유를 위해 SMB를 사용하고 있고, 맥OS에서도 파일 공유를 위해 SMB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오늘 설명드릴 맥의 파일공유 활성 방법도 SMB 프로토콜을 이용합니다. 맥과 윈도우를 사용하다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Zdmr/btsEQOG5u7m/OHYAxo8lcyf6vPwcukKbLK/img.png)
ㅁ 들어가며 맥과 윈도우를 동시에 사용하다보면 파일공유가 문제가 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에 맥에서 폴더를 공유하여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우선, 파일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인 SMB를 설명드릴께요. ㅁ SMB란? SMB는 Server Message Block의 약자, 파일이나 프린터를 네트워크에서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MB는 원도우 개발사인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되었습니다. 현재 많은 기업에서 파일 공유를 위해 SMB를 사용하고 있고, 맥OS에서도 파일 공유를 위해 SMB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오늘 설명드릴 맥의 파일공유 활성 방법도 SMB 프로토콜을 이용합니다. 맥과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한글깨짐 현상이 발생하는데요. SMB를 이용하면 한글깨짐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Qa5o/btsEQQK8Yiq/QxgiKRaB65Y6WSY1ZXZ3K0/img.png)
ㅁ 들어가며 ㅇ [kubernetes] cdk8s란 무엇인가요?에서 cdk8s 개발환경을 설정하였고, 단일 클러스터의 yaml 생성과정을 알아보았다. ㅇ 이 글에서는 cdk8s-team의 example 중에 cdk8s-composition을 토대로 다중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ㅇ cdk8s-team example - java/cdk8s-composition ㅇ 이 글에서 작성한 코드는 이곳에 있다. ㅁ 다중 클러스터 생성을 위한 Template와 Value의 구분 ㅇ 다중클러스터의 생성을 위해서는 공통되는 부분과 동적으로 변동되는 부분이 있다. ㅇ Helm에 비유하자면, - 공통되는 부분은 Template이고, - 변동되는 부분은 value.yaml이다. ㅇ 예제에서는 - val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V1iMn/btsEJaQzRlw/NUjLLWI6NaKgGs9GrjZvEk/img.png)
ㅁ 들어가며 지난 글, [github] Git Action으로 티스토리 블로그 코롤링하여 커밋하기에서 티스토리의 최근 블러그 목록을 보여주는 README.md를 생성하였다. 이번 글은 이것을 Github 메인 화면에 보이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ㅁ Profile README 추가 방법 1. 깃허브의 username과 동일한 repository를 입력한다. ㄴ username을 입력하면 이 repository는 특별하다며, README가 Github Profile에 표시된다고 안내한다. 2. Public을 선택한다. 3. README 파일 생성을 체크한다. 4.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한다. ㅇ Github Profile README 세팅 완료 ㅁ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ㅇ Git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NOmf/btsEF7thcq4/UTIXkUCoDxkTAUTv2o2YD1/img.png)
ㅁ 들어가며 ㅇ python으로 블러그 크롤링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라이브러리가 필요하였다. ㅇ 그래서 이 글에서는 Jupyter nodebook에 추가적인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는 방법 정리하였다. ㅁ Jupyter nodebook pip install 방법 !pip install feedparser ㅇ 정상 설치모습 ㅁ 설치 확인 ㅇ 이전에 문제가 발생했던 작업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rmY4/btsEHqTkpKG/b2UoSTY3yIWhn1kiK6GkpK/img.png)
ㅁ 들어가며 ㅇ 티스토리의 글을 올리면 Git에도 반영되어 잔디밭을 조성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ㅇ Github Action을 이용하여 하루에 한번 티스토리의 RSS를 기반으로 Github에 커밋이 된다. ㅇ 티스토리의 RSS와 Github와 연동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ㅇ 참조: [github] GitHub Action 이용해서 티스토리 게시글 깃허브에 업로드하기 ㅁ 블러그 RSS 추출 # feedparser 라이브러리 추가 $ pip install feedparser import feedparser feed = feedparser.parse("https://peterica.tistory.com/rss") for i in feed['entries']: print(i['link'], i['titl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v8M6y/btsELsJDefm/UKkAFw5XtirvmqIIYmDrkk/img.png)
ㅁ 들어가며 GitHub의 Repository를 그룹주체별로 정리를 하게 되었다. 새로운 Group Repository에 기존 Repository(이후 Repo)를 복사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ㅁ 작업 내용 이전 Repo: skaffold-spring-boot 신규 Repo: Spring 그룹 주제인 spring-projects # 그룹 Repo 이동 $ cd ~/git/spring-projects # Git 이력을 subtree로 추가 $ git subtree --prefix=skaffold-spring-boot \ # 이전 레포지토리명 https://github.com/peterica/skaffold-spring-boot.git \ # 이전 레포지토리 주소 master # 브런치명 # Remote p..